[ BBB - yocto (1) ] 개발 환경 구성하기

참고로 yocto는 최소 사양이 있어

- 쿼드코어, 램 4gb 이상, 메모리 여유 공간 60gb이상



1) cpu 가상화 활성

- 각 pc의 제조사에 맞는 바이오스에 진입해서 cpu 가상화를 켜주자.







2. wsl2 설치

윈도우에서 돌릴 수 있는 가벼운 리눅스야.


viewimage.php?id=28b0d223e1d63da2&no=24b0d769e1d32ca73fe884fa1bd8233c1b43dd6ef4a77da9d280035dd0ff9e8595001ed44419ea170569aa6545342d0571c95730582823ac69385637a6b2babac55a9a724154

파워쉘에서 아래 링크를 따라 설치해 주면 돼



우분투 24.04판은 yocto 지원을 아직 하지 않기 때문에 꼭 22.04 이하 버전을 깔아줘


내가 해봤는데 24.04는 빌드하다 실패하더라...


참고로 배포판은 Ubuntu-22.04를 사용했어. 꼭 CPU 가상화를 켜줘야 wsl을 돌릴수 있어!



PS C:\Users\Administrator> wsl --install Ubuntu-22.04


설치 이후에 재부팅 해주면 됨.


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install


wsl을 다운 받았으면 텍스트 에디터를 깔거야








3. 텍스트 에디터


vscode를 사용할거야.


viewimage.php?id=28b0d223e1d63da2&no=24b0d769e1d32ca73fe884fa1bd8233c1b43dd6ef4a77da9d280035dd0ff9e8595001ed44419ea170569aa6545342d0571c95730582823ac69380033a1e0b6eeb7e9ad2ea578

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가면 받을 수 있어, vscode를 실행해서 익스텐션을 깔아서 개발환경을 구성할거야


익스텐션



viewimage.php?id=28b0d223e1d63da2&no=24b0d769e1d32ca73fe884fa1bd8233c1b43dd6ef4a77da9d280035dd0ff9e8595001ed44419ea170569aa6545342d0571c95730582823ac69380633a9e0ebbfb5e1f96f77d0



viewimage.php?id=28b0d223e1d63da2&no=24b0d769e1d32ca73fe884fa1bd8233c1b43dd6ef4a77da9d280035dd0ff9e8595001ed44419ea170569aa6545342d0571c95730582823ac69385260f5b6b9b9f65848e6bd2e


이렇게 깔아주면 됨, wsl 까지 포함해서


ctrl + p 누르고


꺽쇠 ">"를 입력해줘


viewimage.php?id=28b0d223e1d63da2&no=24b0d769e1d32ca73fe884fa1bd8233c1b43dd6ef4a77da9d280035dd0ff9e8595001ed44419ea170569aa6545342d0571c95730582823ac69385d35a8edbabd027a82c0c964

connect를 검색하면 wsl 연결이 나올거야. 이걸 실행하고


다시 익스텐션으로 돌아가서


viewimage.php?id=28b0d223e1d63da2&no=24b0d769e1d32ca73fe884fa1bd8233c1b43dd6ef4a77da9d280035dd0ff9e8595001ed44419ea170569aa6545342d0571c95730582823ac69380767f5e0edec707da2dd7ba4

wsl : ubuntu 어쩌고 눌러서 wsl 환경에도 깔아주면 됨.


이걸 모든 익스텐션에 대해 적용해줘









4. virtual box 설치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20vqlY6sJ8I






5. 공유 폴더 설정

1. wsl


윈도우와 공유 파일을 설정해 줄거야. 여기서는 리눅스의 링크(윈도우로 치면 바로가기)를 사용할 거야


PS C:\Users\Administrator> wsl


wsl에는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/mnt/c 하위 폴더에 c드라이버가 마운트 된다는 점이 독특하지


여기에 share를 만들거야


$ mkdir /mnt/c/share

$ ln -sf /mnt/c/share ~/share


이러면 share로 이동하면 바로 c드라이브의 share 폴더로 이동하는 걸 볼 수 있어


2. virtual box



공유 폴더를 먼저 설정해줘


그리고 우분투 실행후 게스트 cd 이미지 삽입 후


ctrl + alt + t 로 터미널 열어준 다음

$ sudo mount /dev/cdrom /mnt

$ mkdir ~/share

$ cd /mnt

$ ./autorun.sh

$ sudo adduser $USER vboxsf

$ reboot

이렇게 해주면 버추얼 박스도 세팅 끝이야!


6. 테라텀 다운로드


여기서 teraterm exe받아서 설치 해주면 됨


이렇게 개발환경 준비는 끝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[ BBB - yocto (9) ] 장치트리(DEVICE TREE)

[ BBB - yocto (11) ] uart

[ BBB - yocto (5) ] makefile 작성법과 컴파일 자동화